Wednesday, November 30, 2011

Tumblr 의 Queue 기능

하루 지정된 시간, 횟수별로 글을 발행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발행되기 전에 잠시 생각해볼수 있어서 좋고
발행이 지속적으로 될수있게 해주기도 해줘서 괜찮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Tumblr는 가지고 다니는 수첩과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글 내부에 한글 검색이 잘 안되는 엄청난 단점이 있지만
이런 기능과 아기자기함이 결부되어 있네요.

작은 블로그라기 보다는
큰 SNS 같습니다.

Wednesday, November 16, 2011

워드프레스 가입형 헤드 메뉴선택

Menu에서 기본메뉴를 하나 설정하면 화면상 헤드 부분에 링크(+마우스 올리면 설명)가 순서대로 정렬됩니다.

Friday, November 11, 2011

Word Press 가입형 관리자 메뉴모음

워드프레스 가입형에 대한 설명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한국 블로그에는 별다른 내용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정도 사용하는 사람들은 설치형을 사용하기 때문이리라.

혹시 나중에 가입형에 대해 포스팅을 할 일이 있을수도 있을 것같아
관련 화면을 캡춰한다.


아니면 설치형으로 빨리가버릴 수도...

Monday, November 7, 2011

워드프레스 만들기(가입형)

지인의 추천으로 워드프레스를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설치형으로 바로 시작하기는 엄두가 안나서 가입형으로 시작했습니다. 글쓰는데 내공이 붙고 시간이 여유가 생기면 그때 설치형을
고려해보기로 했습니다.
조금 써보니 기능이 다양하더군요.
놀이터에서 게임방에 온 느낌이라고 할까요... (어째 비유가...)
https://ko.wordpress.com/signup/ 여기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용량은 사진 1G / 동영상등 합쳐서 3G가 최대입니다.
(cloud 사진, 영상을 링크한다면 용량은 큰 문제가 아닐듯 하네요)

앞으로 워드프레스 관련자료는 여기
http://www.diigo.com/user/ehrok21/wordpress?type=all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도움주신 블로거분들께 감사드립니다.
http://dr-choi.kr/
http://projectresearch.co.kr/

Sunday, October 30, 2011

e Tum 적용 Theme와 Thumblr에 대한 생각과

Grid 타입에 보면 있습니다. 여러장의 사진이 한번에 보이고 사진을 클릭하면 위에 설명이 올라오네요.

Tumblr를 다시 써본 느낌으로는
  1. 아쉽던 Archieving 및 Tag, 검색기능이 개선되었음
  2. Read More라는 나눔줄이 인상적임.
  3. 설정 찾기가 좀 어려움
  4. Html을 알면 수정하기 좋으나 유료Theme가 더 좋을듯.


새로운 공감의 영역으로 가져가 볼 생각입니다.
http://ehrok.tumblr.com/

트위터 영향지수 측정을 위한 Klout

  1. Online 프로필 명함인 About.me 와 연계됩니다.
    Z Blogging 21: 나와 관련된 SNS를 하나로 묶어보자 - about.me http://bit.ly/uBn4uy
  2. 자신의 SNS 영향지수를 알아보거나
    Jangsdays' 포스퀘어 다이어리 :: 자신의 'SNS 영향력'은 얼마나 될까? http://bit.ly/uJvSGp
  3. 트위터 KPI 수립에도 도움이 되겠군요.
    Social-Insight LAB > 트위터 KPI 수립을 위한 심층분석 툴 소개 http://bit.ly/uReDCA
물론 SNS는 즐기면서, 가치를 나누면서 하는게 기본이되어야 겠지만 본인의 소셜 성향을 파악해보는데 도움이 되겠네요. http://klout.com/

나와 관련된 SNS를 하나로 묶어보자 - about.me

about.me 를 통해서 본인과 관련된 Social Networking Service 및 Blog를 하나로 묶을 수 있습니다. 본인의 Google+ Public , Twitter 타임라인, Facebook 담벼락(공개/비공개설정가능)등을 각각 클릭하면 이 페이지에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겠네요. 추가로 linkedin 기본 정보, Foursqure 뱃지등도 연결됩니다.

또한 방문자 및 클릭수등 각종 통계를 제공합니다. 동시에 발행하기를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큰 의미가 없겠으나 각각 서비스특징별로 운영하시는 분들에게는 필요하겠네요.

p.s Tumblr 사진이 작은 아이콘으로 나와서 를 다시 써볼까 하는 유혹이 좀 생기는 군요.
http://about.me/ehrok